Robotics

[정보] 아두이노 시리얼 포트 찾는법 - 장치 관리자

로보고니 2025. 1. 14. 16:03
반응형

서론

아두이노를 사용하다보면 시리얼 포트를 찾는 게 중요하다. 아두이노 IDE에서 포트를 연결해야 할 수도 있고, 매트랩이나 파이썬 등에서 포트를 지정해줘야 할 때도 있다. 아두이노 IDE의 경우에는 간단히 포트를 확인할 수 있지만, 매트랩에서는 직접 찾아서 입력해야 한다. 오늘은 아두이노 시리얼 포트를 찾는 법에 대해서 소개하려고 한다.


아두이노 IDE

 

아두이노 IDE 포트 확인

아두이노 IDE에서는 이처럼 간단하게 포트 번호를 알 수 있다. 현재 이 컴퓨터에 아두이노 Uno가 COM5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는 이 COM5를 눌러서 간단하게 연결하면 된다.


장치관리자

아두이노 제어를 위한 MATLAB 코드

이처럼 매트랩에서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리얼 포트를 직접 찾아서 정의해줘야 한다. 하지만 이 포트는 내가 어떤 USB 포트에 아두이노 선을 연결하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만약 잘못된 포트를 정의해준다면 코드가 실행조차 되지 않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COM1부터 하나씩 넣어보는 것은 시간도 많이 걸리고,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장치 관리자 실행

내 컴퓨터에 어떤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장치 관리자이다. 장치 관리자를 찾는 방법은 간단히 시작 버튼에서 장치 관리자를 검색하면 찾을 수 있다.

장치 관리자

장치 관리자를 실행하게 되면 포트(COM & LPT)를 찾을 수 있다. 이걸 열어서 확인하게 되면 COM5에 아두이노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름이 조금 다르기 때문에 확실하게 확인하고 싶다면, 아두이노 케이블을 뽑아보면 된다.


마무리

오늘은 아두이노를 사용하기 위해 아두이노가 어떤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아두이노 포트를 확인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었으며, 둘 다 어렵지 않았다. 만약 아두이노 IDE를 사용한다면 쉽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아니라고 하더라도 장치 관리자를 통해서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